본문 바로가기
일상/일상정보

1인 가구도 든든하게! 서울시 '1인 가구 안심 맞춤 지원 정책' 알고 계시나요?

by 밤몬드 2025. 4. 2.

2025년 서울시 1인가구 안심 시행계획

서울시 1인가구는 2023년 기준 163만 가구(전체 가구의 39.3%)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서울시는 ‘1인가구 안심 종합계획(2022~2026)’을 수립하여 맞춤형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일상지원, 자립지원, 연결지원’ 3개 분야의 정책을 더욱 강화하여 1인가구가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1. 일상지원 |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

< 건강한 생활 지원 >

  • 병원 안심동행서비스 
    • 병원 방문이 어려운 1인가구를 위해 동행 지원(출발·귀가, 접수·수납, 약국 동행)
    • 기존 주 2회 → 월 10회로 확대하여 유연한 이용 가능
  • 1인가구 요리교실 확대
    • 지난해 15개 자치구에서 운영 → 올해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
    • 청년 대상 ‘건강한 밥상’ 프로그램도 5개 → 11개 자치구 확대
    • 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농업기술센터와 연계한 요리교실 운영

< 안전한 환경 조성 >

  • 안심장비 지원 확대
    • 1인가구 및 스토킹범죄 피해자 대상 현관문 안전장치, 스마트초인종, 가정용 CCTV 지원(2,100명)
    • 1인 점포 대상 안심경광등 10,000개 지원
  • AI 기반 지능형 CCTV 설치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안전 사각지대에 지능형 CCTV 1,800대 신설
    • 노후 CCTV 3,300대 교체하여 화질 개선 및 보안 강화
  • 골목길 스마트보안등 추가 설치
    • ‘안심이앱’과 연동된 스마트보안등 추가 4,000개 설치
    • 위급 시 긴급점멸 기능으로 사고 예방

2. 자립지원 | 안정적인 생활을 위한 역량 강화

< 자립역량 강화 >

  • 정리수납 컨설팅 신규 운영
    • 중장년 1인가구 대상 정리·수납 교육 및 전문가 컨설팅 지원
    • 저장강박 및 취약한 주거환경을 가진 가구에는 전문가의 현장 컨설팅 제공
  • 맞춤형 경제교육 및 1:1 컨설팅 제공
    • 재테크, 신용관리, 은퇴설계 등 맞춤형 교육 운영
    • 교육 후에는 재무설계 및 취업 컨설팅 제공

< 주거안정 지원 >

  • 1인 가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개선 
    • 주거안심매니저가 집 보기 동행, 계약 상담, 정책 안내 지원
    • 시민 편의를 위해 야간(~20:00) 및 토요일 이용 가능
  •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 확대 
    •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무주택 청년(19~39세) 대상 최대 40만 원 지원
    • 지난해 8,500여 명 지원 → 올해 지원 규모 확대
  • 청년 월세 지원 확대 
    •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보증금 8천만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 청년(19-39세) 대상
    • 월 최대 20만원, 12개월간 지원 (청년 한부모 및 전세사기 피해자 우선 선정)
    • 군복무 기간 고려하여 지원 연령 39세 → 42세 확대

3. 연결지원 | 사회적 관계망 형성 및 고립 예방

< 사회적관계망 활성화 >

  • 1인가구지원센터 운영 확대
    • 1인가구 대상 여가·문화 프로그램, 상담, 관계망 형성 지원
    • 중장년 프로그램 이용연령 기존 40-64세 대상 → 올해부터 40-67세까지 확대
  • ‘고독 중장년 혼밥탈출’ 신규 운영
    • 혼자 식사하는 중장년 1인가구를 위해 공동식사 지원
  • 1인가구 커뮤니티 활성화 
    • 1인가구 중심의 자조모임 및 지역사회 봉사 활동 지원
    • 지속적인 네트워크 구축 및 상호 돌봄 체계 형성

< 고립가구 발굴·지원 >

  • 우리동네돌봄단 운영
    • 지역주민으로 구성된 우리동네돌봄단이 참여하여 전화·방문 안부확인 및 정서적 지원
    • 고독사 위험군을 직접 살피는 활동
  • 스마트 안부확인 서비스 도입 
    • AI·IoT 기술 활용하여 자동으로 안부 확인
    • 고독사 예방을 위한 상시 모니터링

< 반려동물 돌봄 지원 >

  • 우리동네 펫위탁소 확대 운영 
    • 1인가구가 입원 등으로 반려동물 돌봄이 어려울 때 위탁 보호 지원(반기별 마리당 최대 5일)
    • 지난해 8개 자치구 18개 위탁소 → 올해 17개 자치구 38개 위탁소 확대

 1인가구 지원사업 신청 및 문의

자세한 신청방법 및 운영 시기는 서울시 1인가구포털(https://1in.seoul.go.kr/ )및 다산콜센터(120)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함께 알아두면 좋은 생활정보↓

판콜S와 타이레놀, 함께 먹으면 안 되는 이유! 감기조심 복용조심 하세요~~

요즘 같은 환절기에 감기증상으로 고생하시는 분들 많으시죠?저도 최근에 감기 증상이 있어 상비해 둔 종합감기약 판콜에스를 복용했는데요, 초기 감기엔 판콜 S가 저한텐 잘 맞아서 감기증상

note9427.tistory.com

 
 

출처:서울시1인가구포털

반응형